90일 틱톡 디스플레이 광고 실행 로드맵: 준비→셋업→확장

 

90일 틱톡 디스플레이 광고 실행 로드맵: 준비→셋업→확장

첫 2주를 어떻게 쓰느냐가 90일 성장을 가릅니다. 시작부터 체계적으로, 가볍게는 NO!

혹시 이런 적 있으신가요?
예산은 쓰는데 화면 노출만 늘고 성과는 흐릿했던 경험. 이번에는 달라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목표가 뚜렷한 90일 로드맵으로 매체 운영을 단단하게 만드는 가이드를 준비했어요.
준비–셋업–확장까지 단계별 체크리스트로 실행만 따라오면 됩니다.
복잡한 용어는 줄이고, 실무에서 당장 적용할 수 있는 순서로 정리했어요.



① 틱톡 디스플레이 광고란? (정의)

틱톡 디스플레이는 피드·스토리·탐색 면에 이미지·동적 배너·동영상 썸네일 등 시각 자산을 노출해 관심을 끌고, 클릭이나 보기 행동을 이끄는 포맷을 말합니다.
숏폼 문법과 자연스러운 크리에이티브를 결합해 브랜드·전환 모두를 노립니다.
핵심은 ‘플랫폼 네이티브한 시각 흐름’과 데이터 기반 최적화의 결합이에요.

② 90일 로드맵의 목적 (목적)

이 로드맵의 목적은 3단계로 체계화된 성과 만들기입니다.
준비(0~14일)에서 추적·픽셀·이벤트 구조를 완성하고 베이스라인을 수집합니다.
셋업(15~45일)에서 캠페인 구조를 단순화해 학습을 빠르게 하고, 소재·세그먼트를 통제 가능한 변수로만 운용합니다.
확장(46~90일)에서는 검증된 조합을 스케일하며, 예산 확대에도 CPA 변동을 방어하는 전략을 구현합니다.
결과적으로 안정적 전환단가 유지, 지속 가능한 ROAS, 학습 기간 단축, 소재 수명 연장이 목표입니다.


③ 핵심 기능 & 필수 자산 (핵심 기능)

성과를 좌우하는 자산은 세 가지 흐름으로 준비합니다.
1) 추적 인프라: 픽셀 설치, 서버사이드 이벤트(가능 시), 표준 이벤트·커스텀 이벤트 맵 설계, UTM 규칙 통일.
2) 크리에이티브: 1:1, 9:16 비율 이미지/모션, 3초 훅, 명확 CTA, 5~7개 USP 변주, 썸네일·텍스트 오버레이 키트.
3) 랜딩: 로딩 2초 이내, 폼 최소화, 혜택 가시화, 신뢰 요소(후기·배지·FAQ) 배치.
운영 도구로는 네이밍 규칙(CCYYMM-OBJ-AUD-CR), 실험 시트, 크리에이티브 로그를 표준화해요.

④ 타깃·세그먼트 전략 (핵심 기능)

초반에는 넓게 시작해 좁혀가기가 원칙입니다.
코어 세그먼트는 ① 오디언스 확장 온(자동 확장), ② 관심사+행동 시그널, ③ 30/60/90일 웹·앱 리마케팅, ④ 유사타깃(소스: 구매·장바구니·뷰콘텐츠) 3% 등으로 구성합니다.
중복 노출을 막기 위해 세그먼트 간 제외 규칙을 설정하고, 학습을 위해 광고셋 수를 2~4개로 제한합니다.
매주 한 변수만 바꾸어 증거를 쌓는 것이 성과 안정에 가장 빠릅니다.

⑤ 예산·입찰·측정 (핵심 기능)

예산은 일 단위로 캠페인 예산 최적화 중심으로 시작해요.
입찰은 자동 → 상한형 테스트 순으로, 상한은 목표 CPA의 1.2~1.5배 범위에서 점진 조정합니다.
측정은 7일 클릭/1일 조회를 기본 가정으로, 보조 성과로 세션·스크롤·참여율을 함께 모니터링합니다.
A/B는 소재 → 오디언스 → 랜딩 순으로 진행하고, 승자 조합만 확장 단계로 올려 스케일합니다.


⑥ 기대효과

구조화된 90일 로드맵을 따르면, 초기 학습 낭비를 줄이고 검증된 조합만 예산을 태울 수 있습니다.
전환단가의 급등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일 변화량을 유지하고, 크리에이티브 피로도를 느리게 만들어 수명을 늘립니다.
또한 리마케팅 깔때기를 병행해 신규 유입 대비 반복 접점을 확보하고, 대시보드 지표(전환, CPA, ROAS, CTR, CVR)로 의사결정을 빠르게 합니다.
한 줄 요약: 작게 실험하고, 빠르게 증명하고, 크게 확장합니다.

효과 키워드 설명
학습 단축필수 변수만 테스트해 데이터 축적 속도 향상
전환 안정CPA 변동성 완화로 예산 효율 유지
확장 용이승자 조합만 스케일로 전환
소재 수명피로 관리로 교체 주기 연장
데이터 일관UTM·이벤트 통일로 리포트 정확도 상승
리마케팅 강화깊은 퍼널 접점 확보
의사결정 속도핵심 KPI 중심의 주간 점검
낭비 절감중복 타깃·오버랩 제어
브랜드 리프트자연스러운 노출로 인지 상승
지속 성장확장 단계에서도 효율 유지

⑦ 부작용 및 주의사항

주의: 초반에 변수를 동시에 바꾸면 학습이 꼬입니다. 한 번에 하나만 테스트하세요.

과도한 세분화는 예산 분산과 학습 지연을 유발합니다.
표본이 적은 상태에서 상한 입찰을 급격히 올리면 단가가 튈 수 있어요.
추적 인프라가 미완성인 채로 확장을 시작하면 데이터 왜곡이 발생하니, 픽셀·이벤트 정상 수집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또, 크리에이티브가 플랫폼 문법과 어긋나면 반발을 살 수 있으니 자연스러움을 유지하세요.


마무리

90일은 길지 않습니다. 그러나 순서를 지키면 충분합니다.
준비에서 측정 체계를 고정하고, 셋업에서 통제 가능한 실험만 수행하고, 확장에서 검증된 조합을 키우면 됩니다.
오늘 체크리스트를 복사해 첫 2주 계획부터 달력에 박아두세요. 작은 승리들이 쌓여 꾸준한 성장을 만듭니다.



댓글